아크테릭스
캐나다의 고급 아웃도어 브랜드. 현재 중국의 안타 스포츠 산하의 자회사이다.
혁신을 이뤄내겠다는 의미를 담은 브랜드명과 같이 발전된 현대 기술과 섬세한 공정을 이용하여 의류 자체의 기능성을 올리는데에 집중하는 브랜드이며, 업계 탑 수준의 고어텍스 기술력을 앞세워 가볍고 통기성과 내구성이 모두 높은 바람막이 자켓이 매우 유명하다. 특히 의류의 경우 가격은 비싼 편이지만 상당한 매니아층이 있다.
오랜 기간 전형적인 아웃도어 스포츠에 집중하는 끝판왕 급의 하이테크 기업이었지만, 최근에는 일상복에 아웃도어 기술을 접합한 베일런스 라인과 더불어 루이비통 수석 디자이너가 (버질 아블로) 2020년 파리패션쇼에서 뜬금없이 파란색 아크테릭스 바람막이를 입고 나오는 등 고급 일상복 브랜드로도 조명받기 시작했다.
꼭 아크테릭스의 사례 외에도 위에 언급한 고프코어와 같이 한국 자체가 취미로 등산을 즐기는 정도의 사람들은 많아도 전문적인 하이커/클라이머를 자주 볼 수 있을만한 환경도, 그런 프로가 나올만한 여건도 아니기에 거의 대부분의 아웃도어 브랜드 구매자들은 성능이 필요해서가 아니라 그냥 고급이라 산다고 봐도 될 정도니 아크테릭스를 일상 패션으로 구매하는 사례도 그리 특이한 것은 아니다. 당장 한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야외 활동인 등산, 캠핑을 간다 해도 이미 등산로가 잘 닦여있는 산과 매점까지 있는 캠핑장에 가는 경우가 절대다수인데 극한의 상황을 가정하는 최고급 아웃도어 장비가 잘 팔리는 이유는 뻔하다.
고프코어 트렌드와 그에 대한 연장선이 되는 것 자체는 브랜드 입장에서야 환영일테지만, 그 유명세가 오히려 전혀 아웃도어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 특히 학교에 다니는 10대로까지 들어가서 새로운 등골 브레이커로 새로이 이름이 오르내리는 중이라 마냥 환영할 만한 일도 아닌 것으로 보인다. 과거 노스페이스나 최근에는 스톤 아일랜드, 톰 브라운, 언더아머, 무스너클, 파라점퍼스 등이 10대 중고등학생들이나 2~30대 젊은 양아치들의 눈에 띄어 이미지를 망친 전례가 있기 때문.
그러나 아크테릭스의 경우 대놓고 명품 브랜드인 톰 브라운, 무스너클, 파라점퍼스, 스톤 아일랜드처럼 모든 제품군이 매우 비싼 것도 아니고, 용도나 품질적인 요소는 크게 고려하지 않은 채로 그냥 유행하고 비싸니까 사는 사람들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디자인이 수수하고 인지도가 낮은 아크테릭스까지 눈독을 들이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노스페이스나 스톤 아일랜드, 무스너클 수준으로 유행을 타진 않았다.
게다가 아무리 한국에서 유행을 타서 이미지가 나빠져봤자 아웃도어 시장이 매우 큰 북미를 비롯한 지역에선 여전히 일상 패션용이 아닌 아웃도어 장비로써의 명성이 높기 때문에 브랜드 입장에서 크게 걱정할 사안도 아니다.
예를 들어 북미를 비롯한 해외에서는 아크테릭스를 일상용으로 산다고 해도 그 아웃도어 장비로써의 명성과 기술을 알고, 취미로 하이킹을 하는 동시에 단순 일상에서도 수시로 폭우, 폭설이 내리거나 해서 그 기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찾아온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애초에 아웃도어가 활성화된 북미 지역은 미국식 실용주의가 익숙한 만큼 단순히 수입이 많다고 굳이 필요도 없는 고급 의류를 찾아서 입는 경우가 한국보다 훨씬 드물다. 오히려 과시가 목적이면 대놓고 명품 의류나 장신구를 구입하지, 쓸 일도 없는 기능성 의류를 비싼 돈 주고 입는 경우는 많지 않다는 것.
오히려 아크테릭스 측에서 베일런스 라인을 출시해서 무겁고 뻣뻣하며 일상용으로 부적합할 수 있는 아웃도어 의류 대신 자사의 기술력을 일상복에서도 입을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렇게 브랜드 차원에서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한 일상복을 출시해주는데도 굳이 아웃도어 용품을 일상용으로 구입하는게 문제라면 문제.